[Femina] 비혼을 외치는 여성들

글 입력 2016.11.24 18:58
댓글 2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0fd2dff36a3b04909df59b554e5119bb_xlSLWDg6.jpg
 
 

결혼을 선택이라 말하는 여성들


부쩍 자주 쓰이고 있는 비혼, 1인 가구, 혼밥 등의 단어는 과거와 달리 더 이상 결혼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증명하듯 통계청이 최근 전국 13세 이상 3만8,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6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51.9%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64.7%) 대비 12.8%포인트 감소한 것이며 남성(56.3%)이 여성(47.5%)보다 결혼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했다. 통계 자료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결혼은 선택이라 말하는 여성들, 더 나아가 비혼을 추구하는 여성들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성들의 달라지는 결혼관의 이유는 무엇일까.



결혼과 여성의 역할


최근 방영중인 < 미운우리새끼 >라는 예능 프로그램은 가부장적 사회가 바라는 결혼제도 속 여성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혼자 사는 아들들의 일상을 관찰하는 엄마들은  ‘저래서 결혼을 해야 되는데’ ‘결혼도 해야지 저러면 돼요?’ 라며 철부지 같은 자식들을 돌봐주고 가사 노동을 대신해 줄 며느리의 부재를 너무나 안타까워한다. 때문에 이들이 바라는 며느리의 조건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답습한다. 연상의 며느리는 어떠하냐는 질문에 엄마들은 모두 2세를 낳아야 함으로 연상은 안 된다며 고개를 가로젓는다. 이 결혼하지 않은 평균 나이 42.3세의 싱글남들과 소개팅에 나선 여성들 또한 임신 가능성이 높은 20-30대의 어린 여성들뿐이다. 게다가 김건모의 어머니는 모든 일을 그만두고 아이만 셋 나아서 살림을 잘하겠다고 말한 여성 연예인을 며느릿감으로 꼽기도 했다. 이것은 여성을 가사노동 즉 사적 영역으로 규제하며 부계 혈통을 이어줄 아이를 출산하는 도구로 인식하는 가부장적 여성관이 아직 견고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과 가사노동이라는 이중부담


과거와 달리 높아진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해 맞벌이 부부 형태는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기혼여성들은 일과 가사노동이라는 이중 부담에 시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계청의 자료를 좀 더 살펴보면,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53.5%였다. 남성 중 48.1%가 이에 공감했지만 실제로 가사분담을 공평하게 하는 남편은 17.8% 뿐이었다. < 페미니즘의 도전 >에 따르면 남성들은 주로 공적 영역에서 활동하면서 사적인 영역이라고 간주되는 가족이나 연애 관계에서 관계성을 경시 혹은 부정함으로써 여성의 육체노동, 감정 노동, 정신노동에 무임승차한다. 관계에서 남성의 과묵함이나 모든 면에서 감정적이지 않으려는 심리는 이 때문이라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가사와 육아와 같은 무임금 돌봄 노동은 여전히 여성의 역할로 인식되어 공적 영역뿐만이 아니라 사적 영역까지 수행해야 하는 이중 노동을 떠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결혼과 출산은 여성의 경력 단절로 이어져 개인의 능력조차 쉽게 발휘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니 비혼을 외치는 여성들이 늘어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여자 팔자는 뒤웅박 팔자. 여자는 남자 잘 만나 시집 잘 가는 게 제일이라는 말처럼 남성과의 결혼을 통해 가정을 이루는 것이야말로 여성의 가장 큰 행복처럼 여겨지던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사회적 성취를 얻을 수 있게 된 여성들은 가부장적 결혼제도 속에서 누군가의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성역할보다 스스로의 삶을 찾아 떠나겠노라 선언하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사회는 여전히 이성애 중심 결혼제도 밖에 존재하는 여성들을 곱지 않은 시선이나 낙오자처럼 여기기도 한다. 부디 이런 이성애 중심 가부장적 결혼제도에서 벗어나 비혼, 싱글맘, 싱글대디, 비혼모, 동성결혼 등 좀 더 자유롭고 다양한 결혼 형태가 ‘당연한’ 일이라 여겨지는 사회가 되길 바라본다. 





이미지 출처: 구글


[장지은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2
  •  
  • JISAE
    • 좋은 글입니다. 잘 읽었어요 :)
    • 0 0
    • 댓글 닫기댓글 (1)
  •  
  • 장지은
    • 2016.12.10 01:44:26
    • |
    • 신고
    • JISAE부족함이 많은 글임에도 불구하고 잘 읽어주셨다니 감사합니다! ♡
    • 0 0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4.19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